머리말




이재임(외줄산책 편집장)


 

잡지 <외줄산책>경계선에 서서 아슬아슬하게 외줄을 타는 것 같은 생각들을 모아 산책하듯 가볍고 즐겁게 이야기해보고자 만들어진 잡지다. 산책자는 마주치는 것들에 마음을 완전히 빼앗기지 않고 관찰하는 자이기도 하다. 지나치게 하나에 몰두하다가 갈 길을 잊지 않고, 감정과 사념들에 휩쓸려 주저앉지 않고, 권위나 원칙에 무비판적으로 따라가지 않기를 바랐다.

 

창간호는 대학을 그 대상으로 삼았다. 우리는 새로운 삶의 출발점이었고 오랫동안 몸담아 온 곳인 대학이 죽어가고 있다는 데 절박함을 느꼈다. ‘탈대학이라는 키워드를 던진 것은 대학을 벗어나 새로운 진지를 구축하자는 것보다는, 대학의 기능과 위치와 역할을 다시 사유해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미에서였다. 이 모호한 제호를 권영민 선생님의 글이 잘 규명해주신 듯하다. 결국 대학의 바깥은 없으며 탈구축으로서의 비판이 필요하다는 표현을 빌려 머리말에 적는다. 심기용 편집위원은 글에서 탈대학이란 대학의 폐기보다는 대학의 재전유가 되어야 한다고 적고 있으니 필진들 간은 물론 잡지 전반적으로 공유된 취지라고 할 수 있겠다.

 

글들은 각각이 어느 하루의 시간대를 점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실었다. 그것이 분명히 드러난 건 첫 번째와 마지막 원고이고, 묘하게도 겹쳐 보이지만 다른 패배주의를 이 잡지의 전체 분위기로 가져오게 되었다. 박규민 편집위원의 대학 졸업이란 마치 무슨 꿈을 꾸긴 꿨는데 기억도 잘 나지 않는 게으른 오전과 같다는 묘사에서 시작해서, 늦은 밤 서울에서 대구로 내려가는 마지막 열차에 탑승해있는 지방대생의 이야기까지. 대학이라는 주제에는 필연적으로 어떤 슬픔, 좌절감이 깃들 수밖에 없는 듯하다. 두 번째 글에서 다룬 것처럼, 우리의 대학에서는 학내 언론 기구가 쓰러져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크게 대학이라는 테두리 안에 묶일 수 있지만, 서울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에서 고민하는 지점은 분명 차이가 있다고 보았고, 오히려 지방 대학에서 하는 고민들이 대학의 문제들을 더 잘 드러내 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시훈 선생님의 글은 한정된 지면에도 불구하고 (지방) 대학 및 (지방) 대학생과 한국 현대사와의 관계와 그 변화를 고찰하면서 대학과 지방대의 문제를 풀어가고 있다. 앞서 언급하기도 한 김현진 편집위원의 원고는 서울 수도권 대학생들과 지방대생들이 어떤 출구를 앞에 두고 마주하고 있기만 한 상황에서 빠져나갈 출구는 있는가? 하고 묻고 있다.

 

마냥 읽기 쉽지는 않지만, 필진들이 오랫동안 해온 고민들을 압축적으로 풀어낸 원고들이다. 독자들이 하루 종일 함께 산책하듯 읽었으면 한다.

 



[필자 소개]


이재임

동국대학교 사학과 재학.

일본군 위안부문제에 대한 관심으로 대학원 준비 중.

2014년 동국대 교지편집위원회 편집장을 맡아 두 권의 교지를 펴낸 바 있다.



<외줄산책>경계선에 서서 아슬아슬하게 외줄을 타는 것 같은 생각들을 모아 산책하듯 가볍고 즐겁게 이야기해보고자 만들어진 잡지입니다. 창간호는 대학을 그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탈대학이라는 키워드를 던진 것은 대학을 벗어나 새로운 진지를 구축하자는 것보다는, 대학의 기능과 위치와 역할을 다시 사유해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미에서였습니다. 가볍기만 한 글들은 아니지만, 독자들이 하루 종일 함께 산책하듯 읽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이메일 : wonderinglee@gmail.com

페이스북 페이지 : https://www.facebook.com/pg/singlelinewalk



[바로가기]

2017/12/12 - [[특별연재]외줄산책:탈대학] - <외줄산책: 탈대학> 대학연구네트워크 연재를 시작하며


* 이 글은 외줄산책 편집위원회의 요청으로 크리에이티브 커먼스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4.0 국제 라이센스로 배포됩니다. 라이센스를 위반한 무단 전재와 공유 등을 하실 경우에는 민형사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